본문 바로가기

폴리노직 레이온 섬유

YUPAPAya 2020. 12. 29.

 폴리노직 레이온은 비스코스 레이온의 여러 가지 단점을 보완한 것으로 비스코스 레이온을 제조할 때보다 셀룰로오스에 대한 화학적 처리조건이 덜 가혹하기 때문에 셀룰로오스의 분해가 적게 일어나 500~700의 높은 중합도를 유지하고, 섬유방사 중 응고가 천천히 일어나고 크산테이트가 다시 셀룰로오스 재생되기 전에 신장이 가해지기 때문에 마이크로피브릴 구조를 갖고 있다. 이러한 고 습강도 비스코스 레이온 섬유는 면과 비스코스 스테이플 섬유 양쪽의 장점을 공유하고 있다. 견방적사와 비슷한 비금속의 광택을 나타내므로 드레스 직물에 사용되고 특히 타페타, 포플린, 베드포드 직물과 마다포람의 제조에 사용된다. 치수안정성이 매우 우수하므로 커텐용 직물에도 적합하다.

 폴리노직 비스코스 섬유는 피브릴형태의 미세구조를 가지며 단면은 원형이다. 건강도와 습강도 그리고 습강도/건강도의 비가 비스코스 레이온보다 크며 절단신도는 건, 습 양쪽에서 모두 비스코스 레이온보다 작다. 초기 습윤 탄성율이 높고 습윤 상태에서 변형으로부터의 탄성 회복률이 우수하므로 세탁 시의 치수안정성이 우수하다. 비스코스 레이온보다 알칼리에 대한 용해도가 작으므로 면에 이용되는 연속 습식공정에 응용할 수 있다. 또한, 촉감이 면에 가깝고 광택은 해도면 또는 견방적사와 비슷하다. 일반적으로 염료에 대한 친화력이 낮으며, 염색은 면과 같이 배트, 아조익, 인디고졸 및 프로시온 형태의 반응성 염료가 이용된다. 폴리노직 레이온의 물성과 비스코스 레이온의 물성이 아래 표와 그림에 셀룰로오스계 섬유의 단면과 측면이 비교되어 있다.

  비스코스 레이온 섬유 폴리노직 레이온 섬유
단면 톱니모양 둥근모양
미세구조 없음 피브릴
건강도(g/d) 2.7 3.3
습윤강력(g/d) 1.6 2.5
습/건비(%) 57 76
중합도 270 500
건신도(%) 17 9
습윤신도(%) 22 12
수분흡수율(%) 100 66
습윤 시 직경증가(%) 26 15

셀루로오스계 섬유의 단면과 측면

'섬유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셀룰로오스계 반합성섬유  (0) 2020.12.27
화학섬유~  (0) 2020.12.25
옥수수 섬유  (0) 2020.11.30
견섬유~  (0) 2020.10.30
양모~  (0) 2020.10.23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