견섬유~
견섬유는 누에 체내의 견사선에서 형성된다. 견사선은 전부, 중부, 후부로 나누어진다. 후부 견사선에서 아미노산에 의해 섬유상 단백질인 피브로인이 형성되며 이 피브로인 구조는 섬유상 단백질이기는 하지만 불규칙하게 배열되어 있다.
피브로인은 중부 견사선의 내벽에서 분비한 점착성의 구상 단백질인 고무상 물질 세리신이 분비되어 둘러싼 형태로 전부 견사선을 통해 토사구에서 합쳐서 피브로인 80%, 세리신 20% 비율로 이루어진 견섬유 한 가닥이 완성된다. 견섬유는 토사구를 통과할 때 관벽으로부터 받는 전단력 때문에 분자가 평행으로 배열되어 피브로인 구조는 시트상의 베타-구조가 된다. 한 가닥의 누에고치 섬유(생사)는 견섬유의 단면과 같이 2가닥의 피브로인 섬유를 아교질의 세리신이 둘러쌓고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삼각형의 단면이 불규칙하다.
견섬유의 길이는 약 1km, 굵기는 약 1~2 데니어 (denier, d)로 섬세하고 길기 때문에 섬유 중 가장 촉감이 우수한 의류용 편직물을 제조할 수 있다. 견섬유의 단면은 삼각형에 가까운 봉상 섬유로, 섬유 축 방향으로 피브릴의 집속체이다. 표면은 평활한 편이지만 섬유 방향으로 홈이 파져 있는 다공성 섬유로서 공극이 전체 용적 중 약 35%를 차지하고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견섬유는 탄력이 풍부한 부드러움과 경쾌하고 따스한 느낌을 준다. 이와 같은 특성은 섬유의 굵기는 물론 길이, 단면형상, 표면의 특성 등에 기인한다. 특히, 단면 및 측면 형상의 불균일성 때문에 광선의 반사가 지극히 온화하여 인간의 시각에 부드러운 느낌의 광택을 발현한다. 또한, 홈이 파져 있어 섬유간의 마찰에 의해서 견섬유 특유의 경쾌하게 울리는 소리가 난다. 견섬유의 촉감이나 견명은 섬유단면이 삼각형인 것 때문이지만, 섬유의 불규칙성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 밝혀져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천연 섬유는 자연적으로 생긴 많은 외잡물을 포함하고 있다. 식물성 섬유의 경우는 펩틴질이, 수모 섬유의 경우는 그리스, 납질, 색소, 무기질 등이 있다. 또한 가공공정, 제직, 연사 공정 중 사용된 유제나 호제 등의 2차적으로 부착된 불순물이 많다. 이들 외잡물 또는 불순물은 염색 상의 장애로 인한 얼룩의 발생뿐만 아니라 섬유가 가지고 있는 본래의 특성을 충분히 나타내지 못해서 최종 품질의 고급화에 장애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염색가공 전에 이들 불순물과 색소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생사에는 불순물 외에 세리신이 있다. 이 세리신때문에 생사는 감촉이 부드럽지 못하고 광택도 부족하여 견섬유 특유의 감촉과 광택이 발현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여러 가지 불순물도 세리신에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세리신을 제거하면 순백의 견섬유를 얻을 수 있으며 세리진의 제거 정도에 따라 다양한 느낌의 견섬유가 생산되고 있다. 정련법은 정련제의 종류에 의한 분류, 정련 조작에 의한 분류, 세리신 제거 정도에 의한 분류, 피정련물의 형태에 의한 분류 등이 있다. 정련에는 세리신의 전부를 제거하는 본련과 일부의 세리신을 제거하는 반련이 있다. 반련한 견은 촉감은 부드러워지거나 광택과 견명은 향상되지 않는다.
'섬유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학섬유~ (0) | 2020.12.25 |
---|---|
옥수수 섬유 (0) | 2020.11.30 |
양모~ (0) | 2020.10.23 |
동물성 섬유~ (0) | 2020.10.22 |
마섬유~ (0) | 2020.10.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