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양모~

YUPAPAya 2020. 10. 23.

 양모는  품종과 환경에 따라 품질과 생산량 등이 달라진다. 화학구조는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특징은 다음과 같다.

 

- 화학 조성은 C, H, O, N, S로 구성되어 있으며 단백질의 종류에 따라 조성비가 다르다.

- 폴리펩티드 사슬은 단일 결합으로 이루어져있어 유연성이 양호하다.

- 측쇄의 부피가 커서 결정화가 어렵다.

- 소수성과 친수성, 산성과 염기성 원자단을 함께 가지고 있어서 화학 반응성, 흡습성, 염색 가공성이 등이 우수하다.

- 분자간 이온 결합에 의해서 가교화되어 있어 탄성이 우수하다.

 

 양모는 채취 시 불순물로 왁스, 땀, 먼지, 식물성 외잡물 등을 포함하고 있어 이를 적당한 방법으로 제거하여야 한다. 양모는 채취방법에 따라 살아있는 면양으로부터 양모를 깍아서 얻는 플리스 울, 죽은 면양의 가죽으로부터 뽑은 스킨 울, 의류, 천 조각, 파사, 노일 등 재생된 회수 울로 분류된다. 양모의 품질은 굵기, 길이, 색, 크림프, 외잡물, 강도 등에 의해 등급이 결정된다.

 양모는 견과 같이 동물성 섬유이지만, 세포의 내부에서 이미 섬유가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구성한 단백질의 화학 구조뿐만 아니라, 섬유의 구조도 매우 복잡하고 미묘하다. 섬유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한 오늘날에도 의류용으로서 그 최고의 위치를 고수하고 있는 양모를 대신할 수 있는 섬유를 만들지 못하는 이유는 이러한 복잡한 다상구조 때문이다.

 

양모 섬유의 구조

양모는 화학적 성질이 다른 오르도, 파라, 피질세포로 구성되어 있어 팽윤성의 차이로 이상구조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권축 특성을 나타낸다. 피질세포는 섬유의 약 90%를 차지하고 있어 양모의 대부분의 성질을 지배한다. 친수성의 섬유본체가 소수성의 큐티클상의 세포로 피복된 구조를 가지고 있어 양모 섬유가 발수성과 흡습성이라는 상반된 성질을 갖는다. 큐티클이 비늘상의 형태를 하고 있기 때문에 내오염성이 우수하며 마차계수의 이방성이 생기고, 축융성을 나타낸다 이 축융현상을 이용하여 축융직물을 만들기도 하지만 양모직물의 경우, 세탁 시 가한 물리적 힘에 의해서 직물의 수축 현상이 일어나기 때문에 산화시키거나 수지 가공에 의해서 제거하여야 한다.

 

'섬유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옥수수 섬유  (0) 2020.11.30
견섬유~  (0) 2020.10.30
동물성 섬유~  (0) 2020.10.22
마섬유~  (0) 2020.10.09
천연섬유 ~ 면섬유  (0) 2020.09.05

댓글